[책 리뷰] 5장 - 세븐 스플릿 실전 투자전략 정리
- 박성현 지음 -
세븐 스플릿은 평균 단가를 산출하지 않고, 계좌를 분할시켜 매수와 매도를 하는 것이다.
크게 보면 분할 매수와 분할매도를 하는 것이다.
주린이인 나는 주식을 매수해서 가격이 오르면, '더 많이 살 걸,,,'
가격이 내리면, '지금 더 사도 되나?' 라고 늘 고민하는데
이 투자법은 그런 고민을 좀 덜어 줄 수 있지 않을까?
[세븐 스플릿 실전 투자 전략]
1. 장기 투자 계좌의 투자 자산 비중은 40% 이상으로 유지한다.
2. 레버리지(신용, 미수)는 사용하지 않는다.
3. 장기 투자 계좌의 목표 수익률은 10%이상으로 정한다.
4. 개별 종목 최초 매수 금액은 해당 계좌 투자 자산의 5% 이내로 정한다.
5. 추가 매수는 이전 계좌 종목 투자 손실률 3%이상일 때만 한다.
6. 추가 매수 투자금 규모는 최초 매수 투자금과 동일하게 한다.
7. 손절매는 하지 않는다.
[정리]
1. 장기 투자 계좌의 투자 자산 비중은 40% 이상으로 유지한다.
- 계좌를 1번~7번까지 나누어서 투자 자아를 7가지로 만든다.
- 1번 계좌는 장기투자이고 2번부터 나머지 계좌는 단기 트레이딩 계좌로 사용하는 것이다.
- 1번 계좌는 40%의 투자금을, 나머지 계좌는 60%로 배분한다.
- 장기투자 계좌는 40%이상을 권장하며 30% 이상은 필수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 장기 투자의 '장기'는 기간이 아니다. 빠르 시간이내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면 수익실현을 할 수 있다.
2. 레버리지(신용, 미수)는 사용하지 않는다.
- 여유자금을 이용한다.
3. 장기 투자 계좌의 목표 수익률은 10%이상으로 정한다.
- 자산 배분 후 기대 수익률 혹은 목표 수익률을 정해야 하는데, 장기투자 계좌의 목표 수익률은 1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 연간 목표 수익률을 조금 더 높게 설정하는 것도 좋으며 종목별로 정하는 것도 좋다.
- 투자 경험이 별로 없다면 일괄 10%정도를 권한다.
4. 개별 종목 최초 매수 금액은 해당 계좌 투자 자산의 5% 이내로 정한다.
- 개별 종목에 최초로 투자하는 자금(1번계좌)이 해당 계좌 투자 자산의 5%를 넘지 않는 것이다.
(예시)
4:6으로 투자 자산을 배분 후 장투 계좌의 투자자산을 4천만원이라고 하면
5%인 200만원이 하나의 종목에 투자할 수 있는 최대 금액이다.
(최초 매수 규모가 지나치게 크면 이후 주가 매수 시 영향을 준다.)
5. 추가 매수는 이전 계좌 종목 투자 손실률 3%이상일 때만 한다.
- 물타기는 평단가를 낮추기 위한 것이지만 세븐 스플릿의 추가 매수는 ‘좋은 종목을 더 싸게 사는 것’이다.
6. 추가 매수 투자금 규모는 최초 매수 투자금과 동일하게 한다.
- 단기 트레이딩 계좌는 ‘수익의 크기’보다 ‘수익의 실현’에 더 중점을 두는 것이 좋다.
- 계좌 간 매수 평단가의 차이는 크면 클수록 안정적이다.
(너무 빠르게 추가 투자를 진행해 모든 계좌에 장기투자를 하는 일을 방지)
- 단, 차이가 너무 크면 트레이딩의 기회 포착이 어려움으로 상황에 따라 효율적으로 조절한다.
- 1번 계좌의 장기투자 자아를 제외한 나머지 계좌의 투자자아들은 싸게살 수 있는 기회와 사지 않을 권한을 동시에 가졌다.
(이전 계좌 수익률이 5%이상 하락할 때 추가 매수를 고려하겠다고 정해 놓으면, 그 이상으로 언제나 원하는 때에 상황에 따라 매수하면 된다.)
1번계좌 3% 손실 > 2번계좌 추가 매수 > 5%손실 > 3번 계좌 추가 매수
이런 식으로 추가 매수를 진행한다.
7. 손절매는 하지 않는다.
- 세븐스플릿 투자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가동되기 위해서는 투자 대상이 달러처럼 안정적인 것이 좋다.
▶ 세븐 스플릿 시스템이 자동으로 컨트롤 해주는 것들
1. 분할매수
매수 종목이 하락해야 다음계좌에서 추매 가능 > 안정적 분할 매수
최초 매수 투자금 규모를 넘어설 수 없가는 원칙 > 뇌동매매가 차단됨
2. 분할매도
손절매를 하지않는 원칙으로 주가 폭락은 추매의 기회를 제공한다.
폭락장에서 매수하고 폭등장에서 매도한다는 기본적인 투자원칙이 자연스럽게 진행된다.
손절매가 불가능하다는 원칙은 위험한 종목을 멀리하게 해준다.
3. 현금비중
장기 투자 계좌에서 최초 매수한 주식이 3%이상 하락해야 다음 단기 투자계좌에서 매수가 가능하다. 주식시장이 하락해야 현금 비중이 낮아지고, 상승하면 수익실현을 통해 현금 비중이 높아진다. 비쌀 때 팔고 쌀 때 살 수 있다.
4. 장기 투자
장기, 단기 개념은 불필요,,
그저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는 것은 좋은 것’이고, 그 수익률을 달성하기도 전에 포기하는 것은 나쁜 것이다.
수익실현 이라는 욕망은 단기 트레이딩을 통해 해결하고, 주가 하락에 대한 공포는 추가 매수 여력이 충분한 2~7번 계좌 투자 자아의 존재로 극복한다.
5. 분산 가치투자
투자대상에 대한 확신은 종목 분석력에서 나온다.
분산가치투자를 가능하게 한다.
'Study > 주린이의 경제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모주 청약 하는 방법 (0) | 2021.12.14 |
---|---|
제 2의 테슬라가 될 수 있을까? -팔란티어 PLTR (0) | 2021.12.05 |
[제2의 테슬라, 아마존 전기차?!] - 리비안 상장(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0) | 2021.11.15 |
[수소 관련 대장주] - 린데(전세계 수소1등 기업) (0) | 2021.11.05 |
[스태그플레이션] - 우려 확산?! (0) | 2021.10.18 |
댓글